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8

[컴퓨터 구조] 산술 마이크로 연산 마이크로 연산이란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에 대해 수행되는 기본적인 연산이다. 크게는 네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레지스터 전송 마이크로 연산 2) 산술 마이크로 연산 3) 논리 마이크로 연산 4) 시프트 마이크로 연산 ​ 1) 레지스터 전송 마이크로 연산 여기서 레지스터 전송 마이크로 연산은 이전 블로그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programming-hee.tistory.com/3 [컴퓨터구조] 버스와 메모리전송 (multiplexer, 3 state buffer) ​ ​ ​ 2) 산술 마이크로 연산 ​ 산술 마이크로 연산이란 레지스터 안에 들어있는 값들을 더하거나 빼는 과정을 뜻한다. 레지스터 A에 들어있는 값과 레지스터 B에 들어있는 값을 가지고 산술 연산을 하는 것을 예시로 들.. 2021. 6. 25.
[컴퓨터구조] 버스와 메모리 전송(multiplexer, 3 state buffer) 레지스터에 저장된 데이터들이 각각의 전송 라인을 사용한다면 선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에 버스라는 공통 라인을 사용한다. 버스에서는 한 번에 하나의 전송만 이루어지도록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전송에 사용될 레지스터를 선택한다. ​ 비유를 하자면 학교에 가기위해 학생 한명한명이 전부 자가용을 끌고간다면 학교에 자동차가 포화될것이다. 따라서 학교 통학버스를 이용하는데 한번에 모든 학생이 탑승할 수 없으므로 한명씩 누구탈래? 물어보는 제어를 통해서 탈 사람을 고르게 된다. 내릴 때도 마찬가지이다. ​ 대표적으로 버스를 설계하는 방법 2가지를 설명하겠다. ​ 1) 네 개의 레지스터를 이용한 버스 시스템 노란색 선을 기준으로 버스 부분과 레지스터 부분을 나누어 볼 수 있다. 레지스터는 A,B,C,D 4종류가 존재하고,.. 2021. 6. 25.
[컴퓨터 구조] 레지스터 전송 디지털 컴퓨터에서에서 레지스터는 잠깐 데이터를 저장하고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는 메모리와는 다르다. 메모리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접근하는데 속도가 느리다. ​ 쉽게말하면 책상에 앉아 공부할때 레지스터는 잠깐 정보를 적어놓는 메모지 같은 것이고 책장에 꽂혀있는 책들은 메모리라고 비유할 수 있겠다. ​ 그렇다면 레지스터에 데이터를 담는 과정은 어떻게 수행될까? 레지스터1에 담겨있는 데이터를 레지스터2에 전송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R2 2021. 6. 25.
[컴퓨터구조] 부동소수점(10진수 2진수) 숫자로 부동 소수점 표현은 두 부분으로 구성됨 - 가수 (mantissa, fraction) : 부호화된 고정 소숫점 숫자 - 진수 (exponent): 소숫점의 위치를 알려주는 부분 ​ 말로 들으면 뭔말인지 모름! 예시를 보자. ​ 예제1) 10진수 +6132.789를 부동 소숫점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음 ​ +6132.789 = (0.6132789) x 10^4 ​ 10진수에서는 가수가 소수 첫재짜리를 채우고 있어야하는게 기준임!! 위 예제도 (0.6132789)임을 알수있다 따라서 가수의 특징인 "고정 소숫점"이라는 것은 숫자의 양식을 정해놓은 것임 ​ 진수 부분은 가수의 소수점을 "오른쪽 왼쪽으로" "얼마만큼 옮겨야" 하는지를 표현함 위의 예제에서는 가수의 소수점을 오른쪽으로 4번 옮기면 되는데 .. 2021.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