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5

[운영체제] OS 역사 | Multi-programming system & Multi-tasking system 📌OS 역사 초기 시스템엔 OS가 없다 Batch Processing System Multi - Programming System Time - Sharing / Multi - Tasking System 현재 2. Batch Processing System 작은 메모리 레지던트 OS / 디스크 기반 OS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최초로 처리하던 방식 데이터를 위한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매개체의 최초의 이용 Jobs 프로그램, 컴파일러를 Job이라고 부름 펀치 카드 카드 리더기로 프로세스를 동작했음 Off-line 프로세싱 입출력 장치에 의해 성능이 좌우됨 나~중에 마그네틱 테이프 리더기가 카드 리더기 대신에 사용되었다. 3. Multi Programming CPU와 IO가 Concurrently(병렬.. 2021. 7. 10.
[운영체제] OS란 무엇인가 📌 OS 란 무엇인가 OS (operating system) 사용자가 사용하는 Application Program과 Hardware를 연결하는 것 쉽게 말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 자원을 운영 관리하며 편리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드웨어를 몰라도 컴퓨터를 잘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종류 : window, Linux, MacOS 등 📌 OS가 하는 일 Sharing : 한정된 자원을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할 수 있도록 관리함 Protection : 한 자원에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수정/접근 하지 않도록 보호함 Fairness : 한 프로세스가 자원을 독점하지 않게 함 Efficiency : Power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Energy 낭비를 .. 2021. 7. 10.
[Git] git을 이용한 버전 관리 * 해당 글은 패스트캠퍼스의 자료구조 알고리즘 강의를 듣고 정리하였습니다. 저작권은 패스트캠퍼스에 있습니다. 📌 Git의 사용 이유 파일을 편집 전 상태로 돌리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가장 간단한 방법은, 편집하기 전에 파일을 미리 복사해두는 것 하지만 이 방법은 파일을 편집할 때 마다 매번 복사해야해서 번거롭고, 실수할 가능성도 많다. 또한 특별한 규칙 없이 마음대로 이름을 붙여놓는 경우 어떤 파일이 최신인지, 어떤 부분이 변경된건지 파악하기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Git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내가 만든 버전에서 원하는 시점마다 깃발을 꽂고 이들 간에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 동료가 만든 버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동료와 내 버전을 .. 2021. 7. 6.
[20210705] 패스트캠퍼스 네카라쿠배 2기 최종합격 패스트캠퍼스 네카라쿠배의 한달 동안 긴 여정이 끝나고 최종합하였다! 다른 사람의 후기를 보니, 합격 전화가 4시 30분에 왔다 그래서 그때부터 심장 두근거리면서 기다리고있었는데... 4시 50분쯤이 되어서야 합격 전화가 왔다 ㅎㅎ 📌 최종 면접에 관하여 다른 사람의 후기를 봤을 때는 질문이 그렇게 많은 것 같진 않았는데, 면접관 마다 질문 스타일이 달라서 그런건지 내가 면접 볼 때는 질문이 10개가 넘었던 것 같다... (그래서 너무 떨리고 숨이 막혔다,,ㅋㅋㅋ) 질문의 유형은 이러했다 보통 인성면접시 나오는 질문 (자기소개 1분, 자기 장점 단점, 팀 활동 경험, 스트레스 관리 - 유튜브에 검색하면 좋은 예시가 많다.) 자소서 기반한 질문 (나는 자소서를 약간 특이한 소재를 사용해서 그런건지 모르겠지만.. 2021.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