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글은 패스트캠퍼스의 자료구조 알고리즘 강의를 듣고 정리하였습니다. 저작권은 패스트캠퍼스에 있습니다.
📌 Git의 사용 이유
파일을 편집 전 상태로 돌리고 싶을 때 어떻게 해야할까?
- 가장 간단한 방법은, 편집하기 전에 파일을 미리 복사해두는 것
하지만 이 방법은 파일을 편집할 때 마다 매번 복사해야해서 번거롭고, 실수할 가능성도 많다.
또한 특별한 규칙 없이 마음대로 이름을 붙여놓는 경우 어떤 파일이 최신인지, 어떤 부분이 변경된건지 파악하기 어렵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Git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이다.
Git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 내가 만든 버전에서 원하는 시점마다 깃발을 꽂고 이들 간에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다
- 동료가 만든 버전으로 이동할 수 있다
- 동료와 내 버전을 비교하여 최신본으로 코드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 GitHub에 코드를 올리는 과정
-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여기에서 Git을 쓸것이다" 명령
git init
- 폴더 안에서 코딩
- 내가 변경한 파일 중 올리길 원하는 것만 선택 / 전체 선택
git add "원하는 파일" git add .
- 선택한 파일들을 한 덩어리로 만들고 설명 적기
git commit -m "프로젝트 설명 파일 추가"
- 생성한 커밋 보기 (버전 정보 확인)
git log
- GitHub 사이트에서 프로젝트 저장소 만들기
- 내 컴퓨터 프로젝트 폴더에 GitHub 저장소 주소 알리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아이디/이름.git
- 내 컴퓨터에 만들었던 덩어리 GitHub에 올리기
git push origin master
📌 GitHub에서 원격 저장소를 받아오고 사용하기
✔️ 클론 (Clone) : 원격 저장소를 내 컴퓨터에 받아오기
- 동료가 만든 커밋을 내 컴퓨터에 받아온다
- Clone을 하면 원격 저장소 코드를 내 컴퓨터(로컬 저장소/ .git 폴더)에 받아온다.
✔️ 풀(Pull) : 원격 저장소의 데이터 가져오기
- 동료가 새로운 버전을 push한 경우
- pull 명령어로 내 컴퓨터로 받아올 수 있다.
- 내가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 원격 저장소로 push할 수 있다.
✏️ 클론(Clone)/ 풀(Pull) 과정
- 내 컴퓨터에 로컬 저장소로 사용할 파일 생성
- GitHub의 원격 저장소 받아오기 (clone)
git clone https://github.com/아이디/이름.git .
- 로컬 저장소에서 새로운 파일 작성하면 add/ commit/ push
- GitHub에서 새 커밋 확인 (git log)
- 동료가 새로운 버전을 업데이트 했다면, pull로 새 버전 다운
git pull origin master
'Language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git flow (0) | 2021.09.28 |
---|